딱 하루

오늘이 내게 남은 단 하루인 것 처럼

리뷰/영화&드라마

'은교'야.... (극심한 스포일러)

eJungHyun 2012. 7. 6. 23:15
반응형

조금 늦었지만, 은교를 보았다.



은교 (2012)

7.1
감독
정지우
출연
박해일, 김무열, 김고은, 정만식, 박철현
정보
로맨스/멜로 | 한국 | 129 분 | 2012-04-25
다운로드 글쓴이 평점  



이적요의 마지막, 한마디 

은교야...


이 말이 참 잊혀지지 않는다.


처음 은교가 시작될 때,, 할아버지인 박해일이 씻고, 옷을 갈아 입고 하는 장면을 보면서..

왜 이적요의 역할로 배우 박해일을 캐스팅 했을까.. 라는 생각을 했었다.

그런데 영화 중간 중간 이적요의 속 마음을 표현하는 장면을 보면서 

아.. 정지우 감독이 참 멋진 사람이구나 라는 생각이 확고해졌다.



혹자는 '은교'가 로리타 신드롬을 표현한 영화라고 하지만,

나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영화를 보면서 내내,,

아.. 서지우 이 나쁜놈.. 나쁜놈.. 속으로 이런 생각을 함과 동시에 이적요에 대해 자꾸만 서글픔이 느껴졌다.



 


이적요의 심정은 어땠을까?

모든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고 학계에서도 내로라 하는 시인 이적요.

내가 보는 이적요의 심정은 이랬을 듯 하다.


  • 시인으로 성공하여 학계에서 권위를 갖고 있으나 그러한 지위로 인해 마음껏 자신의 속마음을 표현하지 못해 답답함
  • 남자로서의 삶을 잊어 버리고 단아하고 평온한 삶을 유지하고 있었으나 사실은 자신이 멋진 남자임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자신함
  • 나이 들어버림에 대해 한 없이 서글퍼하고 안타까워함
  • 은교라는 아이를 만나면서 숨겨 두었던 혹은 잊고 있었던 자신의 욕망을 찾게됨. 
  • 한 눈에 은교를 사랑하게 됨. 하지만 그 욕망을 글로 표현하고 결국 그 글을 뒤주 속에 꼭꼭 숨겨 둠
  • 뭐랄까 어린 시절의 상큼함을 다시 맛 봄. 회춘한 듯한 느낌이 듬
  • 제자인 서지우를 사랑하면서도 한없이 무시함. 아니 한심하게 생각함
  • 아끼고 아끼던 아이에 대한 사랑을 서지우에게 빼앗겨 참을 수 없는 분노를 느낌
  • 분노를 참지 못하고 저지른 자신의 행동에 분노, 좌절, 슬픔, 허탈함 등을 느낌
  • 아무것도 말하지 못하고 은교를 보내야 하는 현실을 원망, 체념

물론 감독이, 그리고 작가가 표현하고자 하는 이적요의 마음이 어땠을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내가 보는 이적요의 모습은 참.. 쓸쓸해 보였다.
사랑하지만 결국 그 사랑을 포기해야 하는 이유. 그 이유가 덧 없이 흘러 버린 세월과 나이 때문인가.
아니면 자신 없어져 버린 내 마음 가짐 때문인가.



서지우이 심정은 이런게 아니었을까?

  • 나는 뭔가 무진장 무시 당하고 있다. 그래서 아주 짜증난다. 난 잘난 놈인데.
  • 난 아주 미친듯이 헌신하고 있다. 저 이적요에게. 근데 저 망할 놈은 날 보는 척도 안한다
  • 이적요에게 인정받고 싶다
  • 어떤 방식으로라도 이 세상에서 인정받고 싶다
  • 은교가 이적요랑 잤나보다. 신선같은 선생님을 꼬시다니 저 나쁜 년. 
  • 이적요가 아끼는 것 혹은 이적요를 좋아하는 것을 빼앗고 싶다
  • 외롭다. 이적요를 사랑하는 것 같다 나는.
  • 어쨌든 세상에 내 이름을 떨치게되었다. 그런데 엄청 짜증난다. 그래도 좋다. 이정도는 누려도 된다 나는.
  • 외롭다. 허전하다. 
  • 분노가 치민다. 날 죽이려 하다니. 날 죽이려 하다니. 죽여 버릴꺼야. 죽여 버릴꺼야.

영화 내내 분명 서지우 나쁜놈. 쓰레기. 속으로 이렇게 생각하면서 봤는데
결국은.. 아.. 정말 이적요에게 사랑받고 싶어 했구나.. 인정받고 싶어했구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 안쓰럽다.
왜 하필이면 그런 선택을 했을까.
그런 방법이 아니었으면 정말 눈에 띌 수 없었던 걸까. 하는 생각이 든다.

주변에서 '저 놈은 왜 저렇게 졸졸 쫓아다녀.', '글쎄, 뭐라도 주워 먹으려고 그러나보지' 라는 말들을 들으며 얼마나 자신을 한탄했을까.
존경하는 선생님을 지켜주고 싶은 심정도 있진 않았을까.



자.. 이제 세번째 인물.
은교의 심정.

은교는 특별히 심정을 말하고 싶지 않다.
몇가지 장면이 떠오른다.

"우리 엄마가 생일 선물로 준거란 말이야!"


첫 번째 대사는 아무래도, 이적요와 저 긴밀하게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지 않았을까 싶다.
연필이 슬픈 것 보다, 한층 더 가까워진 느낌이 드는 대사.
"누가 자네에게 별이 아름답다고 알려주었나?" 라는 대사에 대답을 해내지 못하는 서지우와는 달리, 
이적요는 은교 마음속의 서글픔을 이해하고 있었다.


"여고생이 남자랑 자는 이유가 뭔지 알아요? ... 외로와서"

외로와서 키스를 한다고 말했던 서지우처럼
외로와서 섹스를 한다고 말하는 은교.

그런데 왜 난 저 장면이, 은교가 외로와 보이지 않는 걸까.
뭐랄까.. 
은교는 자신을 예쁘게 써준 서지우 앞에서 우쭐대는 어떤 감정을 느낀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


"고마워요. 은교 예쁘게 써줘서."

그냥.. 이 말 한마디에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많은 것들이 담겨 있는 듯 하다.
정말 예쁜 내가 된 느낌이랄까.. 사랑을 받고 싶은 열망도 있고,, 
뭔가 참 복잡 미묘한 감정이다.

처음엔 서지우인 줄 알았기에,, 할아버지가 무시한 서지우지만, 그래도 자신은 그런 놈에게 사랑 받고 있다고 느꼈을지 모른다.

진심으로 자신을 예쁘게 보고 사랑한 사람이 이적요인 것을 알았을 때..

그 때 그 심정이 막 뭉클 내 마음 속에 피어 오른다.




 


영화를 보고 나서 찜찜한 몇가지가 있다.


1. 저렇게 반듯한 신사인 이적요가 바라본 은교의 모습들..

은교 바지 가랑이 사이를 엿본다거나,
잠자고 있는 은교의 입술, 목선들을 훑어 본다거나,
가슴 속을 몰래 훔쳐 본다거나

하는 행동은,, 남자가 여자에게 품는 야릇한 흑심 같은 것이었을까? 
아니면 어쩔 수 없이 저절로 그렇게 되는,, 그냥 본능 같은 것이었을까?


2. 이적요는 서지우가 참 바보 같고 문학에 대한 이해가 안되는 공학도라고 생각했으면서도,, 그렇게 오래도록 곁에 두고 함께한 이유가 무엇일까?

   자신의 글을, 그것도 사랑하는 은교에 대한 글을 빼앗아 간 것을 알고서도 왜 모른 척 넘어갔을까?



3. 은교는.. 왜 할아버지 방으로 올라 가려고 했다가 서지우에게로 내려갔을까?



사실 은교가 아랫층으로 내려가는 장면이 나는 너무 슬펐다.

마치.. 나이 들어 버린 노인에 대한 연민이 느껴졌다.


"너희 젊음이 저희 노력으로 얻은 상이 아니듯, 내 늙음도 내 잘못으로 받은 벌이 아니다." 

라는 말이 스쳐 지나갔다.


잘못이 없지만, 마치 벌을 받은 것 같은 느낌이었다.



뭔가 막 뒤죽박죽 떠오르는대로 써 버렸네.

어쨌든 이 영화는.

세 사람의 감정을 참 깊게 들여다 볼 수 있는 영화다.

장면 하나하나. 무엇 하나 빠뜨릴 것 없이 눈이 가는 장면들이다.


갑자기 서지우가 쓴 <심장>이라는 소설은 어떤 내용일지 궁금하다.



반응형